【大東文化大学】다이토분카대학 심포지엄 개최 안내 <젠더와 신체>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일본의 다이토분카대학 100주년 기념 프로젝트
<다문화 공생 또는 사회에 있어서의
다양성에 관한 종합 연구>연구회에서는
해외로부터 2명의 게스트 스피커를 맞이하여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다이토분카대학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2
<젠더와 신체 '제국'을 재고하다>
2024년 2월 17일(토) 10:00-17:00
다이토분카회관
春日良美
<건강한 것은 아름답다? -메이지기 일본의 체조와 스포츠->
근대 교육으로 메이지시대에
일본에 도입된 체육은
체조라는 과목 명칭으로 학교 교육에 정착했다.
중등교육단계의 여자체육도
일본인의 신체개선이라는 목적하에
중시되게 되었지만
진학할 수 있는 상류, 중류 가정의 자녀에 대해
체조를 지도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따랐다.
그것은 체조를 실시함에 따른 자세나
체격의 개선이 당시의 작법, 가치관에 비추어
여학생의 여성스러움을 빼앗는 것으로
포착된 것이나,
야외에서 운동함에 따른 선탠,
운동에 적합한 복장의
모색 단계였던 것에 의한 문제 등 여러가지였다.
특히 새로운 가치관이었던 헬스의 번역어로
건강이 당시 미인관에 반하는 부분을
많이 담고 있었다는 점이
여자 체육의 보급을 저해했다.
여자체육진흥을 위해 지식인들이
어떻게 건강과 미를 논해 나갔는지를 검토하고 싶다.
金湘斌
<일본식민통치 전기의 대만 학교 여자체육의 변용>
대만에서 일제강점기에 식민지 정부가
여자교육을 도입했다.
그 당초 구사회의 습관과 근대 교육 사이에
가치관의 대립이 생겼고,
특히 체육 수업에서 몇 가지 문제가 부상해 왔다.
당시 대만에서는 중국의 전족 풍습이
사회에 스며들었고,
여성의 작은 발은 아름다움의 상징이었다.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성의 대부분이 전족의 여성들이었고,
이들은 서기조차 어려웠다.
심지어 걷거나 뛰거나 뛰어다니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런 상황에서 전족세대 여성들은
식민지 정부가 벌이는 신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 왔을까.
통치 초기 전족 풍슴은
여자 체육의 도입에 있어 큰 장애물이었으나,
전족 풍습을 부정하고
전족을 푸는 해전족 운동이 확산되어
식민지 학교 교육자들의 오랜 모색 및
실험과 경험을 거쳐 점차 전족 문제를
극복하게 되었다.
또 여성의 '발'의 변화
(전족세대>해전족세대>천연족세대)는
학교 여자체육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대만 여학생들은 점차 유희, 체조,
스포츠 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개는 대만 여성의 신체 해방을 의미하며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식민 통치자가 요구하는
제국의 신여성상에 해당되게 되었다.
井上浩子
<네이션 구축 속의 여성
-동티모르에서의 DV금지와 낙태 금지를 둘러싸고>
동티모르에서는 2000년대 내내
DV 금지와 낙태 금지 법제화가 논의됐다.
동티모르의 젠더 질서,
그 안에서의 여성의 신체 위치에 관한 이 논의는
동티모르 문화가 무엇인가 하는 논의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6세기 이래, 오랜 기간에 걸쳐
외부세력의 지배하에 놓여 온
동티모르에서는 '동티모르 문화'를 옹호하고
'동티모르인'의 독자성, 자립성을
분명히 하는 것은
모든 국내 액터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 계속되어 왔다.
본 보고에서는
여성운동, 정치지도자, 종교지도자 외에
유엔기구나 외국 NGO를 포함한
국제 액터 등이 DV금지와 낙태금지를 둘러싸고
어떠한 논의를 전개했는지,
그 배경에는 어떠한 이념, 이해가 있었는지를 읽어나간다.
ルーシー・デラップ
<20세기 후반 영국의
포스트 콜로니얼 페미니즘과 글로벌 사우스 여성들>
최근 페미니즘의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 사이에는 큰 변화가 보인다.
종래의 유럽, 미국 중심사관을 고쳐
흑인, 선주민, 라틴아메리카계, 아시아계,
아프리카계의 성평등을 둘러싼
활동가들의 주장이나
운동을 인지하게 된 것이다.
'폴리티컬 블랙니스'
[비백인이 공통의 인종적 억압이나
차벽에 직면하고 있다고 하는 이념에 근거해
사용되는 용어]나
흑인 여성 운동에 눈을 돌림으로써
역사 연구는 다양화하고 풍부해졌으며
새로운 논의의 출발점이나
역사적 행위자의 존재도 보여 왔다.
그러나 이 시기의 카테고리 중에서도
오늘적인 정치적 어젠다와
공명하지 않는 과제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받고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본 보고에서는 1970년~80년대 여성운동에서
다양한 '블랙니스' 개념의 전개와 긴장관계
그리고 제3세계 여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수용된 모습을 고찰한다.
이 새로운 개념은 포스트 콜로니얼 세계의
지정학적 경계를 넘나들던
여성운동가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온라인진학쟈료관 JOS
<유학생을 위한 전문학교/대학/대학원 일람/노선도>
https://jstart.co.kr/bbs/board.php?bo_table=issue
댓글 리스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